1. 다음 글의 밑줄 친 부분 중, 문맥상 낱말의 쓰임이 적절하지 않은 것은? 친숙함이 불쾌감을 or 호감을 가져온다면
One should perhaps ask why even very simple animals would prefer familiar stimuli or familiar other animals.
왜 매우 단순한 동물조차 익숙한 자극이나 익숙한 다른 동물들을 선호하는지 아마도 질문해 봐야 할 것이다.
▶ stimuli : 자극 (stimulus의 복수형) |
A tendency to grow fond of the familiar would help stamp in the preference for a stable environment (so animals might learn to like their homes).
익숙한 것이 좋아지는 경향은 (동물이 자신의 집을 좋아하는 것을 배울 수 있도록) 안정된 환경에 대한 선호를 새겨 넣는 것(stamp in)에 도움이 될 것이다.
▶ tendancy : 경향, 추세 (명사뒤 주로 to-v를 불러들인다) ▶ be fond of : 좋아하다. (grow = become 되다) ▶ preference for : for이하에 대한 선호 |
It would certainly promote stable social bonds.
그것은 틀림없이 안정적인 사회적 유대를 촉진할 것이다.
it = A tendency to grow fond of the familiar |
Imagine, for example, that nature programmed animals in the opposite way, so that familiarity led to contempt or some other form of disliking.
예를 들어, 자연이 정반대의 방식으로 동물을 프로그래밍 했다면, 그래서 익숙함이 혐오감이나 다른 형태의 싫어함으로 이어진다면 어떨지 상상해 보라.
▶ program : 어떠한 기능이 자동적으로 이행되도록 지침을 주다.(프로그램을 짜다.) ▶ so that : 결과적 용법. (so that = so) |
How would families stay together?
가족은 어떻게 함께 지낼 것인가?
How would friendships, alliances, or other partnerships survive?
우정, 동맹 또는 다른 동반자 관계는 어떻게 살아남을 수 있을 것인가?
If you always preferred a stranger to someone you knew, social life would be in constant turmoil and turnover.
여러분이 항상 아는 사람보다 낯선 사람을 선호한다면, 사회생활은 끊임없는 혼란과 전복에 놓일 것이다.
▶ prefer A to B : A를 B보다 선호하다 |
In contrast, if you automatically grew to like the people you saw regularly, you would soon prefer them over strangers, and groups would form and stabilize easily.
반대로 여러분이 정기적으로 만나는 사람들을 자연히 좋아하게 된다면, 여러분은 곧 낯선 사람보다 그들을 선호하게 될 것이고, 집단이 쉽게 형성되고 안정화될 것이다.
▶ grow to like : 좋아하게 되다 |
Given the advantages of stable groups (e.g.. people know each other, know how to work together, know how to make decisions together, know how to adjust to each other), it is not surprising that nature favoured animals that grew to like (rather than dislike) each other on the basis of familiarity.
안정된 집단의 장점을 고려해 볼 때 (예를 들면, 사람들은 서로를 알고, 함께 일하는 방법을 알고, 함께 의사를 결정하는 방법을 알고, 서로에게 적응하는 방법을 안다), 자연이 익숙함을 기반으로 서로를 (싫어하는 대신에) 좋아하게 된 동물을 선호하는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니다.
▶ given : 고려해보면 (=considering ; 전치사) ▶ favor : 선호하다. → 자연에서 '호의(favour)'라는 단어는 단순히 좋아하는 것을 넘어서는 의미를 가진다. 이는 특정 행동이나 특성이 생존이나 번식에 유리하게 작용하여, 그러한 특성을 가진 개체나 종이 선택적 이점을 얻는 것을 의미한다. 즉, 직접적인 '좋아함'보다는 생존과 번식의 관점에서 볼 때 유리한 조건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
☞ 동물이 친숙한 자극이나 다른 동물을 선호하는 이유
동물들이 친숙한 자극이나 다른 동물을 선호하는 현상은 복잡한 생물학적, 심리학적 메커니즘에 기반을 두고 있다. 이러한 선호는 생존과 번식에 유리한 결과를 가져오기 때문에 진화적으로 발달했을 가능성이 높다.
● 친숙한 자극을 선호하는 이유
안정성과 예측 가능성: 친숙한 환경이나 자극은 동물에게 안정성과 예측 가능성을 제공한다.
이는 생존에 필수적인 요소로, 위험을 최소화하고 생존율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된다.
학습과 적응: 친숙한 자극에 대한 반응은 학습과 적응 과정을 통해 발달한다.
동물은 보상이나 긍정적인 경험과 연결된 자극을 기억하고, 이를 선호하게 되는데. 이는 새로운 환경이나 상황에 효과적으로 대응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친숙한 다른 동물을 선호하는 이유
사회적 결속과 협력: 동물들은 사회적 결속을 형성하고 협력하여 생존과 번식에 유리한 환경을 만든다. 친숙한 다른 동물과의 관계는 이러한 사회적 결속을 강화하고, 집단 내에서 협력을 촉진한다.
자원 공유와 보호: 친숙한 다른 동물과의 관계는 자원 공유와 상호 보호에 기여한다. 이는 특히 식량이나 서식지와 같은 중요한 자원에 대한 접근을 개선하고, 포식자로부터의 보호를 강화하는 데 도움이 된다.
'2025 수능특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3] 수능특강 13강 11번 (소크라테스와 내적갈등) (0) | 2024.04.08 |
---|---|
[고3] 수능특강 13강 9번 (AI가 인간 지식에 미치는 영향) (0) | 2024.04.04 |
[고3] 수능특강 11강 4번. if not more so....별거 아냐~ (0) | 2024.03.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