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모의고사 해설

2018년 고3 6월 모의고사 33번 (절대 공부하지 말아야 할 바로 그 지문)

by ET위츠 2023. 8. 30.
반응형

 

영절하 (영어공부 절대 하지마라) 뭐 이런건 아니구요.

 

수많은 수험생과 학생들을 x빡치게 만들었던 바로 그 지문과, 해설 그리고 해석이 난무했던 바로 그 문제의 글입니다.

 

다음의 글은 기존 해설과 해석의 답답함으로 이를 교정하기 위해 올린 글로써, 학생 여러분께서는 공부용으로 쓰지 말아야 할 지문이라는 것을 밝히기 위해서 쓴 글임을 밝힙니다. (시험범위속에 있는 지문이라면 모 .....잘 참조해주셔요~ ^^)

 

Technique을 이용해서 풀만한 가치가 있는 글도 더더욱 아닙니다.

 

keyword를 쫓아가서 풀어볼 수 있다라고 하면 모 그럴수도 있을거 같긴한데.

 

여기 게시판에서 학생들 혼자 공부하기 어려운 지문을 역대 모의고사 지문들을 골라 같이 공부하고 연구해 보자는 것이 글을 올리는 취지이지만,

 

이 글은 절대 아니라는 것!! ^^

 

다만 이 글에 대한 해설이나 해석이라는 것을 보시고 좌절하셨을 분들에게, 절대 그럴 일이 아니라고, 영어실력이 부족하셔서 그런 것도 절대 아니라는 것을 말씀드립니다. 

 


33. Theorists of the novel commonly define the genre as a biographical form that came to prominence in the late eighteenth and nineteenth centuries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as a replacement for traditional sources of cultural authority. The novel, Georg Lukács argues, “seeks, by giving form, to uncover and construct the concealed totality of life” in the interiorized life story of its heroes. The typical plot of the novel is the protagonist’s quest for authority within, therefore, when that authority can no longer be discovered outside. By this accounting, there are no objective goals in novels, only the subjective goal of seeking the law that is necessarily created by the individual. The distinctions between crime and heroism, therefore, or between madness and wisdom, become purely subjective ones in a novel, judged by the quality or complexity of the individual’s consciousness. [3점]


① to establish the individual character
② to cast doubt on the identity of a criminal
③ to highlight the complex structure of social consciousness
④ to make the objective distinction between crime and heroism
⑤ to develop the inner self of a hero into a collective wisdom


해석 : 소설의 이론가들은 공통으로 그 장르를 문화적 권위의 전통적인 원천에 대한 대체물로 개인적 특성을 확립하기 위해 18세기 말과 19세기에 두드러졌던 전기의 형식으로 규정한다. 소설은 “형식을 제공함으로써” 주인공들의 내면화된 삶에서 “삶의 숨겨진 전체를 드러내어 구성하고자 한다.”라고 Georg Lukacs는 주장한다. 따라서 소설의 전형적인 줄거리는 그 권위를 외부에서 더는 찾을 수 없을 때 일어나는, 주인공이 내부에서 하는 권위 탐구이다. 이 설명에 의하면 소설에 객관적 목표는 없으며, 반드시 개인에 의해 만들어지는 법칙을 찾는 주관적 목표만 있을 뿐이다. 따라서 범죄와 영웅주의, 혹은 광기와 지혜의 차이는 소설에서는 전적으로 주관적인 것이 되고, 개인적 의식의 특성이나 복잡성에 의해 판단된다.

어렵습니다. 한번 봐서는 무슨 말인지 정말 눈에 들어오지 않는.....

 

Theorists of the novel commonly define the genre as a biographical form that came to prominence in the late eighteenth and nineteenth centuries to establish the individual character as a replacement for traditional sources of cultural authority.

전통적으로 가졌던 cultural authority(권위)를 대체할 수 있는 것으로써, 소설을 연구하는 학자들은 소설이라고 하는 장르를 개인적 성격을 만들어 가기 위한 18세기말 19세기에 유명했던(유행했던) 일대기의 형식으로 정의한다.

 
▶ define A as B : A를 B로 정의하다.


 come to prominence = become famous


<Longman English Dictionary>

형용사인 prominent는 저명한, 중요한, 눈에띄는 (=noticeable)

 a biographical form은 선행사


 cultural authority : 문화적 파워 (→18,19세기 이전에 문화적으로(문학장르니까) 인정받았던 대세)


 biographical  전기의, 일대기의


( ☜ Macmillan English Dictionary)

 

The novel, Georg Lukács argues, “seeks, by giving form, to uncover and construct the concealed totality of life” in the interiorized life story of its heroes.

Georg Lukács는 “(일대기적) 형식을 제공함으로써” 주인공들(heroes)의 내면화된(interiorized=concealed)인생에서 숨겨진 전체 삶을 하나씩 까서 다시 하나씩 (쌓아)만들어가려고 시도하는 것이 소설이다라고 주장한다.

 



▶ seek to-v = try to-v 노력하다.


▶ interiorized - 내재화된 (=internal → 숨겨진, 안보이는)


 its heroes = individual character

 

The typical plot of the novel is the protagonist’s quest for authority within, therefore, when that authority can no longer be discovered outside.

따라서 authority를 외부에서 더이상 찾을 수 없을 때, 소설의 전형적인 줄거리는 (소설의) 주인공이 내부에서 authority를 찾는 것이다.

 


▶ authority = power (주인공이 찾는 가치)


▶ quest = a long difficult search (탐구, 추구)


<Longman English Dictionary>

 

By this accounting, there are no objective goals in novels, only the subjective goal of seeking the law that is necessarily created by the individual.

이 설명에 의하면 소설에 객관적 목표는 없으며, 개인(주인공)에 의해 필연적으로 만들어지는 규칙을 얻고자 하는 주관적 목표만 있을 뿐이다.

 



 주제문 맞음. 누가보아도 주제문이고, 이 문장을 보고 답을 찾아가는 것이 맞음.


(내가 가르치는 학생들도 전체 해석이 안되더라도 이 문장이 주제문임을 알 수 있다. 나도 그렇게 훈련시킨다 -_-)


그러나 개인적으로 위 문장의 law를 법률/ 법칙이라고 해석을 하면서, individual을 개인이라고 해석을 하면서 답을 찾았다는 것은


매우 기술적인 테크닉적으로 고도화되고 훈련이 되어있어서 답을 맞출 수 있음을 인정을 하고.....


저 어려운 글을 보고 한번에 주인공의 "rule"이라든지,  individual을 "주인공"이라고 번.역 하는 것은 정말 말이 안되는 것이지만,

그래도 모든걸 감안하더라도


그래도!!!! 저 위에 있는 모의고사와 함께 제공되는 엉망진창 해석에 맞춰 (또는 그와 비슷한 해석으로) 해설하는 것은 아니다 싶다.


영어 선생들이 얘기하는, 소위 "해석능력 쫌!!! 키워라"라고 하는 것과는 정말 거리가 머~~~언(스스로도 안되어 있으면서) "해석"임은 부정할 수 없다.


그럼 이에 대한 극복은?? 

영영사전안에 있다.

영영사전이 길!!

영영사전만이 길이다!!!!!!


▶ the individual = its heroes = individual character 소설의 주인공

 

The distinctions between crime and heroism, therefore, or between madness and wisdom, become purely subjective ones in a novel, judged by the quality or complexity of the individual’s consciousness.

따라서 범죄와 위대한 용기, 혹은 광기와 올바른 판단의 차이는 소설에서는 전적으로 주관적인 측면의 것이다.

개인(주인공)의 의식(mind)속에 있는 자질(진정한 용기냐 아니냐)이나 복잡성(상황에 대한 깊은 이해도)에 의해 판단되는 그런 주관적인 측면의 것이다. .

 



▶ crime vs heroism - 친구들이 물건을 훔쳐오라고 해서 용기(?)내서 훔쳐오는 용기(=crime) vs 절대악에 맞서 싸우는 용기(=great courage)

madness vs wisdom - 미쳐서 올바른 판단을 할 수 없음 vs 지혜를 이용해서 올바른 판단을 할 수 있음



▶ 은 올바른 결정을 내릴 수 있는 능력을 말함.
대표

<Macmillan English Dictionary>


 

<정답>

to establish the individual character

개인(주인공)의 캐릭터를 만들어가기 위한

 

 

<오답들>

② to cast doubt on the identity of a criminal

범인의 신원에 대해 의심하기

 

③ to highlight the complex structure of social consciousness

사회적 의식의 복잡한 구조를 강조하기

 

④ to make the objective distinction between crime and heroism

범죄와 영웅주의를 객관적으로 구별하기

 

⑤ to develop the inner self of a hero into a collective wisdom

주인공의 내적 자아를 집단적 지혜로 발전시켜나가기

 

 


학자들은 소설이라는 장르를 기존의 전통적 대세(cultural authority)라고 할 수 있었던 것의 대체재로써 (주인공의 캐릭터를 구축하는) 일대기적 형식이라고 정의했다.


Georg Lukács라는 사람도 주장하기를
주인공의 숨겨진 내면의 세계를 하나하나 밝혀내면서 다시 그 사람의 인생을 만들어가는 것이 소설이 하고 있는 것이라고 밝혔다.
(아이언맨의 고뇌, 그리고 super hero로의 성찰)


주인공이 추구하고자 하는 것을 외부에서 못찾게 된다면(사회시스템이라든가 관습등등의 이유로), 내부의 성찰등을 통해 authority를 찾아나가는 것이 전통적인 소설의 줄거리인 것이다.
(∴아이언맨의 세계관)


이런 설명은, 주인공이 설정한 세계관의 주관적 목표만이 존재할 뿐이다.
(아이언맨이 만들어가는 사회정의)


용기냐 아니냐, 현명한 판단이냐 아니냐라는 것의 경계 역시 주관적인 것인데, 이것은 주인공의 세계에서의 자질에 의해 판단되는 것이다.
(아이언맨이 건물등을 폭파해서 세상을 구하는 것이 과연 올바르냐(실제 우리사회에서는 미친 짓), 아이언맨이 얼마나 깊이 심사숙고해서(complexity) 정의로운 심판을 하는것이냐 라는 것 모두...... 아이언맨 마음(subjective ones) )

 

어쨌든 개 어려운 글.

 

제가 깊은 인문학적 능력을 갖춘, 그런 자질을 갖춘 사람은 아니라서. ㅎ

 

잘 전달이 되었을까요?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