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mocracies require more equality if they are to grow stronger.
민주주의는 더 많은 평등을 필요로 한다. 민주주의가 더 강력해져야 한다면.
● are to grow 는 be to 용법으로 의무/예정/운명/가능/의도 등의 의미를 가진다. ● grow는 become( 되다 ; 2형식동사)의 의미 (☞자라다 :1형식동사 / 기르다 3형식동사) |
The problem is that globalization pushes in the opposite direction;
by placing a premium on high skills that make workers more competitive, it increases income inequality between the highly skilled minority and the rest.
문제는 세계화가 그것을 반대 방향으로(in the opposite direction) 밀어낸다(push)는 것이다.
근로자들을 더 경쟁력있게 만드는 만드는 고도의 기술에 프리미엄을 붙임으로써, 세계화는 고도의 기술을 가진 소수와 나머지 사이의 소득 불평등을 증가시킨다.
● ;(세미콜론 semicolon)을 쓰는 이유는 문장을 마침표로 끊기엔 (내용 연관성이 크기에)아쉽고, comma로 잇기에는 문장의 무게감이 느껴질때...... 그럴 때 쓰는 구둣점(punctuation)이다. ● place a premium on N : N가 다른 어떤것보다 중요하다고 가치있다고 생각하다. (to believe that a particular quality or activity is very important ☜ 맥밀란사전 정의) ● that make workers more competitive 의 선행사는 high skills (☞ make의 수일치 주의) |
In this situation it is not sufficient to reduce economic insecurity by expanding the social safety net.
이러한 상황에서 사회안전망을 확대함으로써 경제적인 불안정을 감소시키는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 경제적인 불안정성(economic insecurity)을 줄이기엔(reduce) 충분치 않다. (☞ 영작주의) 가주어(it) 진주어(to reduce economic insecurity) ● inequality → insecurity로 이어지는 글의 흐름 주의 (☞ 순서/삽입문제 주의) |
Instead, a country must begin to make the transition from a welfare state to a workfare state with an emphasis on creating a more highly skilled labor force and improving access to the labor market for women and low-income youth.
대신 각 국가는 좀더 고급 기술을 갖춘 노동력의 창출과 여성 및 저소득 청년층의 노동시장 접근 활성화에 역점을 두면서, (단순)복지국가에서 노동복지 국가로의 변신을 시작해야 한다.
● with an emphasis on ~ : on이하에 역점(주안점)을 두면서 ● creating과 improving은 병렬 구조다. (☞ 전치사 on의 목적어) ● instead를 통해 앞 내용을 비틀면서 글쓴이의 주장이 시작된다. (☞ must begin, must also provide) |
To expand job creation, new social policies must also provide better incentives for entrepreneurship and innovation.
일자리 창출을 확대하려면 새로운 사회 정책은 또한 창업 의욕과 기술 혁신에 대한 더 나은 장려책을 제공해야 한다.
● to expand job creation은 to부정사구(☞ 목적을 나타내는 부사적용법). ● new social policies가 주어. |
Only then can social policies be considered key factors of production, beyond their role as instruments of social protection.
그때서야 사회 정책은 사회 보호의 도구로서의 역할을 넘어서 생산의 주요 요소로 간주될 수 있다.
● only 부사구로 시작되는 도치구문. 일종의 변형된 부정문형태로 then을 강조하고 있다. ● only가 문장앞에 쓰일 경우(only와 only가 꾸며주는 부사,부사구,부사절이 앞으로 나오는), 그 뒤는 의문문 어순이 된다. (☞ 최다 빈출 도치구문중 하나) |

<영문법 백과사전 by 최인철)
'모의고사 해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3] 2019년 3월 영어모의고사 28번 (잠자기전에는 지난일 말고 앞의 일을 생각하자!!!) (0) | 2023.08.18 |
---|---|
[고3] 2017년 수능영어 28번 (help는 돕다의 의미만 있는게 아니다.) (0) | 2023.08.17 |
[고3] 2016년 6월 영어모의고사 28번 (예술은 이상해~) (0) | 2023.08.14 |
[고3] 2021년 9월 영어모의고사 29번 (superiority와 excellence의 차이를 알아?) (0) | 2023.08.13 |
[고3] 2018년 7월 영어모의고사 28번 ( with stakes infinitely higher 를 해석해봐! ) (0) | 2023.08.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