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etitive activities can be more / than just performance showcases where the best is recognized and the rest are overlooked.
경쟁을 벌이는 활동은 최고는 인정받고 나머지는 무시되는, 단지 수행능력을 보여 주는 것 그 이상의 활동일 수 있다.
● can be more (activities) 그 이상의 활동일 수 있다. ● performance showcases. 주어 동사 ● where는 관계부사. where뒤 절은 완전한 형태가 온다. where뒤의 절은 형용사처럼 앞의 performance showcases라는 명사를 구체적으로 설명/꾸며주고 있다. (관계부사 where는 해석하지 않는다. 굳이 하자면 "거.기.에.서.는" 정도??) |
The provision of timely, constructive feedback to participants on performance is an asset that some competitions and contests offer.
참가자에게 수행능력에 대한 시기적절하고 건설적인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은 일부 대회와 경연이 제공하는 자산이다.
● 문장은 간결하게 보자. The provision is an asset. of이하가 the provision을 꾸미고 있고, that이하가 asset을 꾸미고 있다. ● The provision is an asset. 제공하는 것이 자산이다. ● offer의 목적어가 없는 불완전한 that절을 관계사절이라 하고 앞의 asset이 선행사다. |
In a sense, all competitions give feedback.
어떤 의미에서는, 모든 대회가 피드백을 제공한다.
● competition이 가산명사로 쓰일때는 "대회"로 해석한다. a나 ~s가 붙지 않는 불가산 명사인 경우일때, 그때 "경쟁"이라고 해석한다. ● feedback은 불가산명사다. |
For many, this is restricted to information about whether the participant is an award- or prizewinner.
많은 경우에, 이런 feedback은 참가자가 상 혹은 상품을 받았는지에 대한 정보로 국한된다.
● be restricted to A : A로 한정된다. 대회에서 제공하는 feedback은 누가 상을 받았는지에 대한 정보만으로 한정된다. ☞ 사람들은 누가 1등을 했는지 안했는지라는 정보만을 궁금해 하고, 이에따라, 대회주최측은 performance에 대한 feedback을 제공해주는데, 이는 발전적인 측면에서의 feedback이 아니라 그냥 1,2,3등만을 알려주는 정보일뿐인것이다. ● 주어 this는 앞문장 전체를 받아주고 있다. |
The provision of that type of feedback can be interpreted as shifting the emphasis to demonstrating superior performance but not necessarily excellence.
그런 유형의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은 반드시 탁월함은 아닌 우월한 수행능력을 보여 주는 것으로 강조점을 이동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 interpret A as B → A be interpreted as B : A는 B로 해석된다. (B는 shifting the emphasis) ● shift A to B : A를 B로 이동시키다. (A는 the emphasis, B는 demonstrating superior performance) ● superior performance 우월한 수행능력(비교o) / excellence 뛰어남 (비교x)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 자체가, 비교를 통한 우월함을 강조하는것으로 비쳐질 수 있다. |
The best competitions promote excellence, not just winning or “beating” others.
최고의 대회란 단순히 이기는 것이나 다른 사람을 ‘패배 시키는 것’만이 아니라, 탁월함을 장려하는것이다.
● 주제문(저자가 하고 싶은 얘기) (☞ 순서/삽입문제 주의!!) |
The emphasis on superiority is what we typically see as fostering a detrimental effect of competition.
우월성에 대한 강조는 우리가 일반적으로 유해한 경쟁 효과를 조장하는 것이라고 간주하는 것이다.
● The emphasis on superiority is what we typically see 불완전 불완전 is의 보어가 없어서 불완전, see의 목적어가 없어서 불완전. 두개의 절이 다 불완전인 경우 what이 답이 되는 경우가 다.반.사 ● see A as B : A를 B로 간주하다. (이때의 A는 접속사 what으로써 절앞으로 보내진 형태, B는 forstering) ● detrimental = harmful= damaging 해로운 ● 이때의 competition은 a나 ~s가 붙지 않은 불가산의 형태 → 경쟁으로 해석한다. (가산명사의 경우 a나 the, ~s를 붙이는데, 이때는 "대회" 로 해석한다.) |
Performance feedback requires that the program go beyond the “win, place, or show” level of feedback.
수행 기량에 대한 피드백은 프로그램이 ‘이기거나, 입상하거나, 또는 보여 주는’ 수준의 피드백을 넘어설 것을 요구한다.
● require는 요구/주장/제안/명령 동사에 해당하는 것으로, 이렇게 해석되는 동사류들은 that절뒤 should를 동반한다. 이 should는 생략가능. → 그래서 동사원형 go가 왔다. |
Information about performance can be very helpful, not only to the participant who does not win or place but also to those who do.
수행 기량에 관한 정보는 이기거나 입상하지 못하는 참가자 뿐만 아니라 이기거나 입상하는 참가자에게도 매우 도움이 될 수 있다.
● be helpful to 사람 : 사람에게 도움이 된다. ● to the participant와 to those는 병렬구조. ● who do의 do는 앞의 win과 place를 받아주는 대동사. (→ but also to those who win or place(이기거나 입상하는)에서 win과 place를 do하나로 받아버렸다. 영어는 반복되는걸 좋아하지 않는다.) |
'모의고사 해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3] 2019년 3월 영어모의고사 28번 (잠자기전에는 지난일 말고 앞의 일을 생각하자!!!) (0) | 2023.08.18 |
---|---|
[고3] 2017년 수능영어 28번 (help는 돕다의 의미만 있는게 아니다.) (0) | 2023.08.17 |
[고3] 2011년 10월 영어모의고사 21번 (니들이 도치를 알아? (feat. only then)) (0) | 2023.08.16 |
[고3] 2016년 6월 영어모의고사 28번 (예술은 이상해~) (0) | 2023.08.14 |
[고3] 2018년 7월 영어모의고사 28번 ( with stakes infinitely higher 를 해석해봐! ) (0) | 2023.08.12 |